정보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우리 아가에게 맞는 방법은 이것

   2021. 4. 19. 16:26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은 아가마다 맞는 방법이 다르더라고요.

우리 아가에게 맞는 방법을 잘 찾으면 얼른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어요.

 

딸꾹질이란?

 

딸꾹질은 호흡을 할 때 도와주는 근육이 횡격막과 함께 수축이 되면서 일종의 경련이 일어나 나오는 소리인데요.

 

​신생아는 왜 딸꾹질이 잦은가요?

 

신생아의 경우에는 횡격막이 덜 자란 상태라 호흡 자체가 완전하고 원활하지 않은데요.

거기에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성인보다 딸꾹질이 더 자주 나오게 됩니다.

 

신생아의 경우는 편안한 상황에서 숨을 들이쉬고 내쉬다가도 호흡이 완전하지 못해 딸꾹질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 이외에도 신생아는 특히나 외부 온도나 습도에 대응을 못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신생아 딸꾹질 원인 1

 

주변 온도에 변화가 생기거나 아가의 신체 온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면 딸꾹질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갑작스레 찬 공기를 호흡하거나 젖은 기저귀를 착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신체 온도가 영향을 받아 추위를 느낄 수 있는데요. 이럴 때 딸꾹질하는 있습니다.

 

 

신생아 딸꾹질 원인 2

 

그다음으로 많이 생기는 신생아 딸꾹질의 원인은 수유를 위해 젖을 물릴 때 공기가 과다하게 들어가게 되면 들어갔던 공기가 나오면서 딸꾹질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젖을 잘 못 물려서 공기가 많이 들어가는 경우, 또 젖을 자주 물었다 뺐다 하면서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아기를 제대로 된 수유자세로 편안하게 안아서 아기 젖이 빠지지 않도록 해주는 게 좋습니다.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1

<체온 유지>

 

먼저, 체온을 따뜻하게 올려줘서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는데요.

 

신생아가 있는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하고요.

손발싸개와 모자, 옷을 덧입히고 담요를 덮어주고 감싸서 신체 온도를 올려줍니다.

 

기저귀가 젖었는지 수시로 잘 확인해서 아기기 찬기운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니 먼저 확인해주시고요.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2

<수유>​

 

아기가 젖을 물다 잘 못 물어 딸꾹질이 생기게 되는 경우에는요.

젖이 입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잘 물리면 젖을 빨면서 호흡이 정상으로 돌아와 딸꾹질이 잦아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기를 품에 잘 안고 부드럽게 토닥이다 보면 경련이 일어난 근육이 풀어져 딸꾹질이 잦아들 수 있습니다.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3

<자극주기>

 

딸꾹질이 잦아들지 않으면 신체에 자극을 주어 놀라게 해서 호흡이 가다듬어지도록 만드는 건데요.

발바닥을 세게 누르거나 발바닥 톡톡 때려서 자극을 주는 것입니다.

 

발바닥 중앙에 파인 부분을 꾹 누르면 자극이 가면서 아기가 놀라 울게 될 수 있는데요.

아기 놀라 울면서 호흡의 흐름에 변화를 일으켜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이 잘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바닥의 엄지와 검지 사이를 지압해서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도 딸꾹질을 멈출 수 있어요.

 

또는 아가의 코를 간지럽혀서 재채기를 나오게 하는 것인데요. 이 방법으로도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으로 가장 중요한 건 체온 유지이기 때문에

실내 적정 온도는 22도~24도로 유지해서 급격한 변화가 없게 하고, 습도 역시 40~60%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에요.

 

신생아는 옷을 갈아입힐 때나 목욕할 때도 찬 공기를 느끼고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체온 유지에 항상 신경 써야 합니다.

 

잠깐씩 딸꾹질을 하는 경우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너무 오랜 시간 동안 딸꾹질을 하는 것은 신생아에게도 무리가 될 수 있으니 여러 가지 방법을 잘 알아두었다가 우리 아가에게 잘 맞는 방법으로 딸꾹질을 멈춰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